[SeSACx코딩온] 서버 접속(PUTTY와 FileZilla)
들어가면서
0) Windows는 PUTTY와 FileZilla, Mac은 terminal과 FileZilla를 이용합니다.
(Mac 접속 방법은 블로그 하단 참고)
1) PUTTY 란?
- PuTTY는 오픈 소스 터미널 에뮬레이터, 직렬 콘솔 및 네트워크 파일 전송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주로 Windows 환경에서 사용되며, Linux와 같은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도 실행할 수 있습니다.
2) FileZilla 란?
- FileZilla는 오픈 소스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클라이언트 및 서버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주로 FTP를 통해 파일을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하는 데 사용됩니다.
3) Apache 란?
- Apache HTTP Server입니다. Apache 서버 소프트웨어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 중 하나입니다.
1. PUTTY
2) 공인 IP 주소를 HOST NAME에 입력하고 SSH접속을 위해 22를 PORT에 입력합니다. 편한 접속을 위해 프로필을 만들어 줍니다.
3) root 권한 접속을 위한 root 입력합니다.
4) pem 파일을 업로드하여 확인하였던 관리자 비밀번호 입력합니다.
5) 접속 성공
6) 관리자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접속해도 상관없지만 비밀번호를 변경하여 편하게 접속할 수도 있습니다. passw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2. FileZilla
2) 파일 > 사이트 관리자 선택합니다.
3) 프로토콜에 ssh선택 후 포트에 22입력, 호스트에 공인 IP입력합니다.
4) 비밀번호 묻기를 선택하였기에 연결 시 비밀번호를 물어봅니다.
5) FileZilla 접속 성공
(참고) FileZilla 접속 시 가끔 공인 IP주소를 입력했는데도 페이지 변경 등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면 포트번호 누락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포트 번호를 누락하여 접속하더라도 접속에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접속은 되지만, 페이지 변경 요소가 반영되지 않습니다. 포트번호를 꼭 입력하도록 합니다.
3. Apache
작성한 코드들을 보여지게 만들기 위해서는 웹서버에 띄워야 합니다. FileZilla까지만 설치하면 웹서버에 파일을 올릴 수 있는 디렉토리가 보이지 않습니다. 웹서버가 아직 없기 때문입니다. 웹서버를 만들기 위해 Apache를 설치해 줍니다.
1) PUTTY 에 접속하여 설치 가능한 리스트를 업데이트 합니다.
2) apt-get install apache2 명령어를 사용하여 apache를 설치합니다.
3) Y를 입력합니다.
4) 기존에 보이지 않던 www 디렉토리가 생성 되었습니다.
5) apache 설치 후 생성된 www/html 디렉토리를 확인해보면 index.html 파일이 있습니다.
6) 공인 IP주소를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면 apache 기본 화면이 보여지게 됩니다. (연결 성공) 이제 공인 IP 주소로 서버에 접속이 가능하고 작성한 코드를 www 디렉토리에 업로드하면 보여지게 됩니다.
(참고) Mac에서는 모든 단계가 동일하나, PUTTY 부분만 다릅니다.
Mac은 Open SSH Client가 기본으로 설치 되어 있기 때문에 PUTTY 설치 대신에 termial에서 바로 가능합니다.
명령어 ssh root@공인IP주소
를 입력하고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바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